프리랜서 강사 K 씨가 코로나19 시대를 넘는 법

-

온라인 글쓰기 교실, 8월 현재 3교시 순행 중 ​

-

 

 

프리랜서 글쓰기 강사 K 씨에게는 또 하나의 루틴이 생겼다. 온라인 글쓰기 교실 참여자들의 글을 첨삭하기로 마음속으로 정해놓은 시간에 잠이 깬다. 참여자들도 글을 안 쓰면 무언가 중요한 일을 하지 않은 듯한 느낌이 든다면 이 수업에서 기대하는 1차 목표는 달성한 셈이다.

 

글쓰기 강사로 지난해까지 무리 없이 프로그램을 이끌던 K 씨는 코로나로 대면 강의가 전면 중단되면서 올 6월부터 온라인 글쓰기 교실을 열었다. 광고는 K 씨가 오랫동안 운영해오던 블로그를 이용했다. 과연 사람들이 모일까? 의구심도 있었다. 그러나 K 씨 강의를 기다리던 몇몇 사람들의 요청과 그들의 응원에 힘을 얻어 1교시 수업에 참여할 학습자 모집 광고를 했다. 이미 온라인을 이용한 글쓰기 강좌는 많다. 그중에는 플랫폼의 지원을 받아 탄탄하게 운영되는 것도 있고 이름을 대면 알 만한 강사들의 프로그램도 있다. 모두 나름의 강점이 있을 것이었다. 뒤늦게 시작하는 K 씨로서는 앞서 자리 잡고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다른 강좌와 차별성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대면 수업에 호응이 높았던 것을 떠올렸다. 첨삭이었다. K 씨는 온라인을 통한 1:1 맞춤 첨삭을 하기로 한다.

 

 

 

 

 

대면 수업에서는 합평을 겸한 첨삭을 한다. 합평도 장점이 있다. 다른 사람의 글을 읽으며 글쓰기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남의 글을 보면서 자신에게 부족한 점을 발견하기도 하고 글감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도 한다. 합평에는 단점도 있다. 특히 내 글이 남 앞에서 평가받는 듯하다 하여 불편해하는 사람도 있다. 평가하기도 조심스럽다. 자칫 불편한 일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온라인 글쓰기 수업에서는 이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이메일 첨삭을 한다. 강사와 학습자가 1:1상황이기 때문에 글쓴이의 글쓰기 성장속도에 맞춘 첨삭을 할 수 있다. 충분한 첨삭을 하기 위해 학습자도 10명으로 제한했다.

 

3교시째 운영 중인 온라인 글쓰기 교실에도 역시 10명의 참가자가 글을 보내오고 있다. K 씨는 첨삭한 글을 답장메일로 보낸다. 학습자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A4 한 장 분량의 글을 써서 보낸다. 휴일은 글쓰기도, 첨삭도 쉰다. 그중에 하루도 안 빠지고 쓰는 사람이 두 명 있다. 두 사람 다 1교시 글쓰기 수업부터 계속하고 있다. 주 5일, 한 바닥 분량의 글을 하루도 빠지지 않고 쓰기, 쉽지 않은 그 일을 해내고 있다. 첨삭하는 K 씨는 자신도 이렇게 기쁘고 대견한데, 본인은 어떠할까 묻는다.

 

 

 

 

 

 

l 온라인 글쓰기 교실은 이런 장점이 있다

온라인 글쓰기 교실은 이런 장점이 있다. 첫째, 지역성의 한계가 없다. 참여자 중에는 이런저런 일로 외국에 사는 사람이 2명이나 된다. 충청도 보은, 경기도 안산시와 시흥시, 강원도 원주. 대면 수업이라면 쉽지 않았을 인연이다. 지방에 사는 학습자들과 직장인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대면 수업에는 참여하기 어려운 사람들이다. 온라인 수업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자신이 편한 시간에 편한 공간에서 글을 써서 하루가 넘어가기 전에 보내면 K 씨 역시 하루 중 편한 시간을 골라 보내온 글들을 읽고 꼼꼼히 첨삭한다. 온라인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둘째는 익명성이다. 대면수업에서 자신이 써온 글을 합평하다 상처받은 경험이 있다는 참여자가 있다. 그는 그 일로 글쓰기에 자신감을 잃었다고 한다. 소설가 김영하는 합평의 경험을 서로 물따귀 때리기 같았다고 말한다. 익명성은 글쓰기를 자유롭게 한다. 부끄럽다고 생각되는 기억이나 어두운 경험 등 비교적 진솔하게 풀어낸다. 남의 시선을 살피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누구나 살아온 만큼 크고 작은 영광만큼 슬픔이나 상처도 있게 마련이다. 대면 수업에서 드러내기 어려운 속살 같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온라인이라서 가능하다.

 

셋째, 편의성이다. 쓰고 싶은 시간에 쓰고 할 수 있는 시간에 첨삭할 수 있다는 건 더할 수 없는 편의다. 각각 글쓰기 좋은 시간이 있다. 글쓰기 좋은 장소도 각각 다르다. 보은에서, 싱가포르에서, 마포에서. 맞는 시간에 맞는 장소에서 쓰고 퇴고한 후에 보낸 글을 나는 나의 시간에 첨삭한다. 이밖에도 소소한 장점들이 있다는 것을 온라인 글쓰기 교실을 운영하면서 경험한다.

 

K 씨의 온라인 글쓰기 교실에 참여한 이들은 이 프로그램의 이름을 줄여서 “온글쓰기교실”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가상의 공간에서 진행되므로 “랜선글쓰기 교실”이라고도 부른다. 무엇으로 불리던 온라인이어서 가능한 일들은 불과 코로나 시대 반년 만에 드물지 않은 교육 풍속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