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프업+인터뷰+2.png
 

 

 

 

 

1. 대표님 소개와 더불어 창업 아이템에 대해 간단한 소개 부탁드립니다!

 

마을 활동을 해온지 어느새 12년입니다. 띠로 한 순배를 돌았죠. 예술창작소에서 마을미디어, 도시재생과 마을여행, 아파트공동체와 어린이작은도서관, 문화재단 일까지 두루두루 맡았습니다. 열 가지 재주있는 놈이 저녁거리 간 데가 없다는 말이 있는데, 그게 접니다.(웃음) 마을일을 두루 하다보니, ‘지속가능성이 늘 고민이었어요. 저부터 고민해보자는 마음으로 지난해 점프업5060 창업 과정을 노크했습니다. 첫 창업 아이템은 지역과 시니어를 연결한 창작 레지던스였어요.


제목을+입력하세요+(14).png


2. 해당 문제 혹은 아이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지역은 점차로 비고 있는데 시니어는 점차로 늘고 있죠. 시니어가 제2의 인생을 살아가기 위해 배움과 휴식과 만남이 필요한데, 이 부분을 지역 자원들과 연결해야겠다 싶었어요. 그런데 지역에 23일 창작 레지던스할 분이 없고요. 그 일을 하는 데는 역량이 너무 많이 소모되더군요. 그래서 일단 후퇴. 재도약과정에 제출한 아이템은 현재 제가 있는 공간과 지역과 제 장점을 살리는 일입니다. 콘텐츠 창작자를 위한 교육과 공간 대여 등이 현재의 아이템입니다. 

 

 

5_지원자금+선정탈락후_공간+개선작업+스스로.jpg
 

 

 

3. <점프업5060> 1기/2기/3기 참여 이후에 어떻게 지내셨나요?

  

점프업 1~3기 분들이 주축이 되어 한국시니어교류협회를 창립했지요. 배우고 놀고 벌자는 기치 아래 서로 자주 만납니다. 좋은 교육을 기획해서 모이고요, 모이면 서로 협력할 거리들이 늘어나죠. 썩 많이 깊게 참여하고 있지는 못합니다만, 이러한 분들과의 만남이 뜻 깊고 즐겁습니다.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한 창업가들이라 마음이 잘 맞거든요. 왜 우산을 씌워주는 이보다 비를 같이 맞는 이가 더 가까이 하고픈 사람인가를 알게 됐어요. 그 외 기업을 하시는 분들과 이러저러한 관계를 맺고 있어요. 마을서 하던 습()이 이 (기업) 업계에서도 계속 되는 게 어찌 보면 신기하죠.

 

 

3_점프업5060_사례지탐방.jpg
 

 

 

 

4. 어떠한 계기로 <점프업5060 재도약 2기>에 참여하게 되셨나요?

 

140여개 팀 중에서 열 개 쯤 하는 지원 선정과정에서 떨어졌더랬죠. 위에서도 말했지만, 현장성이 적었고, 현실성이 떨어졌어요. 22년 겨울에서 23년 봄까지 매주 일요일 몇 분과 우리들만의 조찬포럼을 열었고요. 거기서 나온 결론은 시니어에게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자는 것이었어요. 제가 있던 작은 작업실과 마을에서 스마트폰, 글쓰기, 블로그, 동영상 등 강좌를 열다가 재도약 2선발 공고를 봤어요. 포럼 과정중 읽었던 책 중에 핑크 펭귄이 있었는데, ‘아름다운 공간’,‘절대 가치의 제공’, ‘마케팅의 단계화같은 전략들을 봤고요. 그걸 시험해볼 공간과 기반들을 도움받고 싶었습니다.

 

제목을+입력하세요+(16).png
 

 

5. <점프업5060 재도약 2기> 사업화지원금을 통해 어떤 것이 달라졌나요?

 

위에서 말한 공간을 새롭게 할 리모델링 지원을 받았어요. 스스로 공간을 고쳐오고 있었는데, 이쪽 지원이 공간을 일신할 계기가 됐죠. 홈페이지를 만들고 홍보 동영상을 만드는 데 필요한 지원, 마케팅과 기업 경영, 사업 계획 같은 곳의 컨설팅도 1:1로 받으니까 큰 도움이 됐고요. 지역활성화라는 공적인 영역에서의 역할을 고민하면서, 그간 받았던 도움을 지역과 이웃에 널리 나누고자 합니다.


6_재도약2기_리모델링계획2.jpg


6. 창업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순간은 언제이며, 어떻게 이겨내셨나요?

 

두 가지가 넘기 어려운 관문이었어요. 하나는 가치라는 영역에 이윤이라는 것, 즉 돈을 벌어야 한다는 것이었고요. 또 하나는 내가 하고자 하는 일 말고, 고객이 원하는 것을 해야한다는 말이었죠. 5060 창업교육 과정 내내 들었던 말인데, 거부감이 있었거든요. 그런데 그게 무슨 뜻인지를 파악하는 데 꽤 시간이 걸린 것 같습니다. 어떻게 이겨냈냐고요? 사업을 하다 돈이 떨어져서 카드사나 은행에서 독촉이 오면 정신이 번쩍 들죠. 가게 문을 열었는데 텅빈 공간을 보면 목이 타죠. 상황이 오면 방법이 없는 거죠. 해야지.



7. 나의 사업 아이템 만의 어떤 경쟁력, 혹은 차별점이 있나요?

 

사업을 하면서 두 가지를 염두에 두었어요. 고객 가까운 곳에서 필요한 일을 해드리겠다. 디지털 자산화는 각 개인이나 상인들이 자각 못하시는 장점이나 내용을 자산으로 만들어 드리고자 하는 거예요. 시대에 들어맞고 개인에게도 필요한 일이죠. 오랜 동안 미디어와 출판에 종사해온 저로서는 잘하는 일이기도 하고요. 각 개인이 기업으로 혹은 창직을 하실 수 있도록 먼저 도울 겁니다. 저희의 기회는 거기 있죠.

 

5_지원자금+선정탈락후6_책쓰기교실+강좌+진행.jpg
 

 

8. 앞으로의 활동 계획을 말씀해 주세요!

 

지난해 1년 동안 전문 경영인들 조찬강연을 함께 할 기회가 있었습니다. 제가 가장 꽂혔던 단어는 협업이었습니다. 12년 동안 쌓아온 마을일과 사람들을 어떻게 도울까 생각하고 있고요. 창업을 하면서 만나게 된 많은 대표 분들과도 협업을 위한 기초를 계속 다지고 있어요. 일단은 그분들과 제 비즈니스와 협업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요. 근자열원자래(近者說遠者來). 가까운 분들에게 인정받으면, 더 먼 분들에게 뻗어가겠습니다. 작동을 하겠죠!

 

 

9. 창업을 꿈꾸는 중장년 세대에게 조언과 응원 한 마디 부탁드립니다!

 

주위에 일흔여덟의 시니어가 있습니다. 30년 계획으로 도서관과 정원을 만들고 계십니다. 강릉에서요. 중장년에게 아직 30~50여년 남은 세월이 있습니다. 경험과 지식이라는 자산도 충분한 이들이 우리 중장년입니다. 개인적으로 자아실현의 과제가 남아 있을 수 있죠. 사회적으로 공헌해야할 의무도 있죠. 창업 창직은 이를 이뤄갈 멋진 방법입니다. 주위엔 도움을 줄 50플러스 같은 곳도 있고, 이웃 창업가들도 이미 여럿입니다. 나설 작정만 하시고, 신발을 신고 나오기만 하시면 됩니다. 여러분을 응원합니다.


4_점프업5060_사업화노력_하동.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