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인생 설계, 여가 가이드 편 - ‘길 위의 예술 여행 드로잉’ 

 

“진정한 발견을 하는 여행이란 새로운 풍경을 보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눈을 갖는 것이다.

(The real voyage of discovery consists not in seeking new landscapes but in having new eyes.)”

 -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

눈이 부시게 시린 가을처럼 익은 50+ 중년의 인생들이 길 위에서 고화질 스마트 폰 대신 섬세한 붓 기법으로 풍경을 묘사하는 느린 마을의 풍경! 

 

image00001.jpg
▲ 시간이 멈추는 느린 마을의 풍경

 

여행길에서 스마트 폰이나 사진기에 담아둔 풍경을 다시 보는 되풀이보다 그림을 그리면서 되새김을 한다면 그건 또 하나의 창작일 수 있을 것이다. 미묘하게 달라지지만, 그때는 느끼지 못했던 나만의 배경색, 마음의 빛깔을 더해 그날의 감정과 이야기들이 재현되기 때문이다.

 

‘길 위의 예술 여행 드로잉’은 한마디로 사실적 풍경에다 나의 감정이 이입되는 나만의 크로키(croquis), 풍경 너머 관찰을 덧입히는 스케치 작업이다. 우리가 늘 담아 두던 복사판 인증샷에 조금 더 먼 여행, 오래된 기억을 담는 과정이다.

길을 걷다 보면 산허리나 들길, 바닷길, 자연의 풍경 사이를 구불구불 휘도는 길은 사람보다 먼저 바람길이다. 그래서 길은 천의무봉의 대자연에 살짝 흠집을 내는 덧질이요, 드로잉이다.

 

남미의 나스카(Nazca line)부터 오솔길, 둘레길, 자드락길까지 효율로 보면 최단 직선이어야 함에도 구불구불 휘돌아 든다. 그러기에 길을 의미하는 ‘path’는 ‘고통’(to feel or suffer)의 파토스(πᾰ́θος)가 이미 ‘들어간 상태’(paschein)다.

길(path)이 없으면 무관심(apathy)하고 반대로 갈라서면 반감에 혐오(antipathy)가 있기에 길에서의 여행(travel) 역시 때로는 고통(travail)이 공존하는 힐링이자 모험이기도 하다.

 

드로잉을 진행하는 강사는 의외로 젊었다. 그도 그럴 것이 젊은이는 최근 미국 경제지 포브스가 선정한 ‘세계 최고의 직장’ 평가에서 3년 연속 1위를 차지한바 있는 우리나라 기업에서 소프트웨어 분야의 회사원이었다 한다.

그런 그가 3년 반 동안의 내로라하는 일터를 박차고 유럽 여행길에서 찾은 숨통이 바로 드로잉이었다. 돈, 기술, 선행 등 모든 것이 더해지는 것이 미덕이 되는 세상에 덜어내는 기술은 어쩌면 문명의 반항처럼 보인다. 그럼에서 이르지도 느리지도 않은 나만의 시간 속에서 풍경을 넘어 자신의 번뇌와 고민을 덜어내는 작업, 그것이 진정 ‘길 위의 예술 여행 드로잉’이 아닌가 싶다.

 

image00002.jpg
▲ 예술 드로잉은 나를 덜어내는 과정이다

 

행자무강(行者无疆)!

길 떠난 자는 끝이 없다지만 그 길 위에서 실로 다양한 것들을 보고 만난다. 빤한 길이래도 자연스럽게 다가오는 모퉁이를 만나면 막연한 기대와 설렘이 있다. 그래서 모퉁이는 새로운 시작이고 기대이고 질문이다. 하지만 돌아들면 아무것도 아닌 그 길일 수도 있다.

하나의 계절에서 또 하나의 계절로 들어서는 여울목에 서면 저 너머에는 또 뭐가 있을까? 그저 시지푸스(Sisyphus) 같은 반복의 연속일 수 있지만 작은 희망의 발견일 수도 있다. 한두 모퉁이가 아니라 자그마치 50개가 넘는 햇수의 모퉁이를 돌다 보면 알게 된다.

 

사페레 베데레(Sapere Vedere)!

‘방법을 알다’의 Sapere와 ‘보다’의 Vedere가 합쳐진 단어로 굳이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가 아니더라도 자기만의 눈으로 세상과 풍경을 ‘보는 법을 아는 것’이다.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는 것에 집중하기보다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을 보고 싶다’에 집중한다. 그렇기 때문에 모퉁이에 다다르면 또 빤히 속을 줄 알면서도 새로운 마음으로 새로운 꿈을 꾼다.

 

그 걸음도 어딘가에 멈춘다. 목적지에 도달하거나 힘들어 주저앉을 때이다. 하지만 모든 길은 저마다 해답을 품고 있기에 앞으로 가야 할 이유와 실마리가 되기도 한다.

사랑이란 인간이 누릴 수 있는 가장 큰 사치이고 여행이란 그 사랑 안에서 우리가 누릴 수 있는 멋진 선택이다. ‘여행’이란 ‘여기서 지금 행복’이다.

 

image00003.jpg
▲ 사페레 베데레(Sapere Vedere), 보는 법을 아는 것

 

중국 장자 사상의 중요한 특징의 하나인 소요유(逍遙遊), ‘소(逍)’란 소풍 간다는 뜻이고, ‘요(遙)’는 멀리 간다는 의미며, ‘유(遊)’란 노닌다는 뜻이다.

매일 우리에게 다가오는 하루하루를 마치 무슨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쟁하지 말고 쉬엄쉬엄(辵), 갈 때 쉬고, 올 때 쉬고, 또 중간에 틈나는 대로 쉬면서 드로잉!

 

 

50+시민기자단 황용필 기자 (yphwang@skku.edu)

 

 

황용필.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