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협동플랫폼카페이웃 강순영 대표가 제안하는 환경보호를 지속 가능하게 하는 동네살이  

 

“환경감수성은 개인이 자연환경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함양하게 되는 자연환경에 대한 공감적인 정서이다.” -출처: 두산백과

 

환경감수성은?

날씨가 선선해지는 가을 날씨에 감수성이 풍부해지는 사람이 많다. 그런데 환경감수성이 뭘까? 통상 생각하는 감수성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환경과 감수성 사이에 어떤 연관이 있을까 궁금했다.

 

(주)협동플랫폼카페이웃 강순영 대표는 환경감수성은 개인이 자연환경과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함양하게 되는 자연환경에 대해 공감하는 정서라고 말한다. 그래서 환경감수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환경보호를 위해 노력한다고. 환경관은 자연환경을 대하는 인간의 인식이나 태도를 말하는데 시대에 따라, 지역이나 문화에 따라, 개인의 가치관에 따라서도 서로 다른 환경관을 가질 수 있으니 어떤 환경관을 가졌는지에 따라 자연환경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질 것이다.

 

요즘처럼 전 세계적으로 지진, 폭우, 폭염 등의 기상이변이 많이 일어나는 상황 속에서 인류의 존망을 가장 크게 위협하는 문제 중 하나가 환경문제이다. 특히 플라스틱 사용량 폭증으로 폐플라스틱 처리 문제가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플라스틱 최대 사용 국가의 오명을 안고 있다. 이를 생활 속에서, 마을 속 주민들 관계에서 지속가능하게 실천하려는 마음들이 모여 협동플랫폼카페이웃을 만든 강순영 대표가 환경감수성을 키우고 지속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시 골목에서 환경감수성 성장이 가능할까?

코로나19로 인해 배달음식이 증가하면서 일회용 용기가 많이 배출되고 있다. 식구가 적음에도 대형마트를 이용해 식자재를 대량으로 구매하면서 버려지는 음식 쓰레기의 양도 증가하고 있다. 우리가 버린 쓰레기들이 다시 우리에게로 돌아오는 시간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11.JPG
▲ 우리가 배출하는 쓰레기들은 누가 치우고 어디로 가는가에 대한 문제 인식을 하고 있는가? ⓒ 유튜브 화면 자료

 

22.JPG
▲ 수도꼭지만 틀면 나오는 물은 어디에서 왔는지, 내가 버린 쓰레기는 누가 치우고 최종적으로 어디로 가는지 민감하게 느껴본 적이 있는가? ⓒ 유튜브 화면 자료

 

질문하지 않으면, 내가 스스로 노력하지 않으면 도시에서는 환경감수성을 느낄 수가 없다. 강 대표는 환경과 친해질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보라고 한다. 집안에 화분이나 새싹을 키우는 키트가 있으면 내가 관리하는 식물, 자연이 있을 때 관심을 가지게 된다고 한다. 자연스레 접촉을 통해 환경에 대해 관심도 생기고 자연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골목에서의 환경감수성 문제는 ‘생태적 사고’, ‘과학적 사고’의 부재

33.JPG
▲ 생태적 사고는 모든 것이 상호 연결되어 있고 자연은 서로 연결되어 공간, 시간적으로도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하는 사고라고 한다. ⓒ 유튜브 화면 자료

 

생태적 사고는 모든 것이 그물망처럼 관계되어 있다는 생각이다. 하나 속에 모든 것이 있고 모든 것 안에 하나가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세계관으로 바라보면 함부로 자연을 이용할 수 없을 것이다. 결국은 모든 것이 돌고 돌아 나에게 영향을 미치리라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과학적 사고는 사실에 입각하여 ‘원인과 결과’를 실험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믿는 것인데, 에너지는 사라지지 않고 다른 형태로 변환된다. 즉, 내가 만들어낸 쓰레기나 폐기물은 그냥 사라지지 않고 어딘가에는 다른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는 것이다. 지구상의 물질은 순환하므로 결국 나에게 되돌아올 것이다.

 

2022년 한국 환경위기 시각은 ‘위험’

44.JPG
▲ 2022년 환경위기시계가 가리키는 한국과 세계의 시각. 자정에 가까울 수록 환격에 대한 높은 위기 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 유튜브 화면 자료

 

환경위기 시각은 각 지역 및 국가별로 가장 시급하고 고려해야 하는 세 가지 환경 분야의 데이터를 가중평균하여 산출한 것이다. 시각이 자정에 가까울수록 시민들이 환경에 대해 높은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위기 시각이 가장 빠른 지역은 10시 17분인 북아메리카지역으로 가장 높은 위기감을 보이고, 가장 늦은 지역은 9시 1분인 아프리카 지역이다. 또, 60대 이상의 연령대에서 가장 높은 위기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골목형 자원순환 거점 조성으로 환경감수성을 지속가능하게 

현재 우리에게 환경감수성을 지속가능하게 하려면 궁극적으로 생태적 도시로 전환되어야 사람들이 인식을 전환하고 실현가능성을 꾸준히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생태적 도시(Ecological Polis)란 사람과 자연, 환경이 조화되며 공생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춘 도시를 의미한다. 대안으로 모색되는 생태적 도시로 브라질 꾸리찌바, 독일 프라이부르크를 예를 들며 도시 전체가 자연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자원순환의 매개처, 친환경 실천의 경험 장소, 공동의 힘을 모으는 장소가 되어야 사람들의 인식을 전환하고 실현가능성을 경험할 수 있다고 한다. 

 

55.JPG
▲ 생태적 도시의 예-환경을 생각한 교통 체계를 도입한 브라질의 꾸리찌바, 태양에너지로 유명한 독일의 프라이부르크. ⓒ 유튜브 화면 자료

 

66.jpg
▲ 서대문 마을의 골목형 자원순환 거점 추천 장소. ⓒ 유튜브 화면 자료

 

이에 (주)협동플랫폼카페이웃은 첫발로 골목형 자원순환(제로웨이스트) 거점을 조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카페이웃은 주민들의 관계를 잇기 위해 만든 모임 공간이면서 카페이다. 지역의 자원을 재사용할 수 있도록 자원들을 수집하여 필요한 곳에 보내는 자원순환 거점의 기능을 하면서 무포장가게 도돌이(제로웨이스트숍)를 운영하며, 초중고 학생 및 주민을 대상으로 환경 교육과 친환경 생활재 만들기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생태적인 발자국이 분명한 자원순환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지난 9월 1일부터는 서대문50플러스센터 내 까페에도 포장없는 가게 도돌이숍을 열었다. 센터 내 도돌이숍은 현재 화~금 13~17시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개인 각자가 환경을 생각하며 실천할 때 우리 동네의 인식과 문화를 개선하는 데 힘이 될 것이다. 각자가 내 생활반경에서 실천할 수 있는 것들을 작은 것에서부터 시도해보고 생활에 안착시켜 보는 것은 어떨까.

 

77.jpg
▲ 포장이나 용기 없이 생활재를 판매하고 있는 카페이웃의 제로웨이스트숍, 우유팩, 플라스틱 병뚜껑, 아이스팩 등을 수거하는 자원순환 거점.

 

글 50+시민기자단 이은영 기자 (eyoung2@hanmail.net)

 

 

이은영.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