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이 쨍쨍한 여름이었다. 개미는 더위에 아랑곳하지 않고 구슬땀을 흘리며 부지런히 일을 했다. 하지만 베짱이는 그런 개미를 비웃으며 서늘한 그늘에 누워 매일 노래를 부르며 놀았다. 가을이 가고 추운 겨울이 왔다. 개미는 여름 동안 마련한 식량을 쌓아놓고 따뜻하게 지낼 수 있었다. 먹을 것이 떨어져 굶주리던 베짱이는 개미를 찾아와 도움을 청했다. 개미는 코웃음을 쳤다. "그러게 너도 일을 했어야지. 여름에 노래했으니 겨울엔 춤이나 추렴."

 

초등학교 시절 누구나 한 번쯤은 들어 봤을 이솝우화 중의 하나이다. 베짱이는 게으름뱅이의 상징이었고, 개미는 부지런한 일꾼의 상징이었다. 개미의 '워크홀릭'은 지난 육칠십 년대 우리 사회 최고의 덕목이었다. '일 하면서 싸우고, 싸우면서 건설하자'는 구호가 학교 교실과 동네 골목 여기저기에 붙어 있었다. '도랑 치고 가재 잡는' 효율과 '빨리빨리'의 속도는 강조되었고, 느긋한 휴식이나 한가한 여가는 터부시되었다. 우여곡절은 많았고 그 중 일부는 지금도 여전하지만, 어쨌건 전체적으로 절대적인 궁핍은 사라지고 살림살이는 나아졌다. 사람들은 그것을 '한강의 기적'이라 부르기도 했다.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사람들이 '워라밸(Work and Life Balance, 일과 삶의 균형)'을 말하기 시작했다. 일에만 치우쳤던 삶의 방식에 대해 회의가 들기 시작한 것이다. 새로운 단어의 출현은 종종 새로운 시대의 도래를 암시한다. 하지만 워라밸이란 말은 수정되어야 한다. 삶은 일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상위 개념이기 때문이다. 삶은 일과 휴식으로 이루어진다. 삶이 경제나 경영만이 아니듯 여가도 일을 위한 보조 활동이나 잉여 시간을 때우는 오락이 아니라, 그 자체로 주체적이며 완결적인 개념이다. 결국 일과 여가는 동등한 가치이며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삶은 온전한 균형을 이룰 수 없다.

 

 

또한 여가는 은퇴를 한 베이비부머 세대에게만 주어지는 축복 혹은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모든 세대에 걸친 보편적인 화두이다. 사람들에게 노동만을 강요하는 사회는 먹고 살기는 하겠지만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 미래는 자신에게 더 많은 여가의 시간을 선사한 사람들의 것이다. 자신들이 원하는 여가를 위해 자신들의 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사람들의 것이다. 더 좋은 사회는 쉽게 말해 나이와 성별에 상관없이 '잘 노는' 개인들에게 더 너그러운 사회이다. 더 이상 '베짱이 노래'를 게으름이나 소비적인 향락으로만 인식하지 않는 사회가 되었다.

 

 

지난 9월 6일과 13일, 2회에 걸쳐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에서 <무엇을 어떻게 하며 '놀 것'인가? (여가)>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강의를 맡은 강신익 강사는 '여가에 대한 소개와 내게 적합한 여가활동 찾기, 중부캠퍼스와 함께 할 수 있는 여가활동' 등을 다양한 자료와 함께 설명해 주었다. 총 4시간의 강의만으론 여가에 대한 개론적 수준을 넘어설 수 없었지만, 새로운 삶의 방식을 찾아 이륙하는 비행기에 몸을 실은 수강생들에게 기대와 설렘의 수치를 높여준다는 의미로서는 충분해 보였다. 어차피 각론이야 수강생 각자가 선택하고 실천하며 깨우쳐야 할 것이었다. 수강생은 유은숙 씨는 "내가 찾으려는 여가가 무엇인지 알게 된 강의"라는 평을 해주었다.

 

수강생의 남녀 비율은 대략 50대 50정도였다. 어떤 사람은 참여 남성들이 생각보다 많다고 놀라기도 했지만, 여가의 필요와 중요성이 성별에 따라 달라질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이름을 밝히지 않은 한 남성 수강자는 교육 참석 동기로 "은퇴를 앞두고 삶을 반추하는 과정에서 여가를 생각해 보게 되었다"고 했고, 여성 수강자인 이은주(46세)씨는 "100세 시대에 여유로운 삶을 준비하고 싶어서"라고 말했다.

 

 

30대 초반의 젊은 수강자도 있었다. 앞서 말했듯 여가는 전 세대를 아우르는 문제이지만 교육 장소가 50+캠퍼스이기에 확연히 눈에 띄었다. 참석 동기와 소감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이지영 씨는 "5060 세대의 여가 생활을 알고 싶었고, 이를 통해 부모님의 삶을 좀 더 이해하고 싶었어요. 그리고 제 자신을 위한 여가를 생각해 보고 싶어 수강하게 되었습니다."라는 답을 주었다. 그리고 어떤 여가를 가져야 할 지 고민해보는 유익함과 아기자기한 재미가 있었던 강의였다고 전했다.

 

   

 

강의의 마지막은 수강생들이 직접 '나의 생애 여가 액자'를 만들어 보는 순서였다. 수강생들은 저마다 해보고 싶은 여가를 그림과 글로 압축시켜 작은 액자에 담았다. 강사는 그것을 가장 눈에 잘 띄는 일상의 공간에 두라고 했다. 여가는 생활 밖에 있어 가끔 넘겨보는 것이 아니라, 밥을 먹는 행위처럼 일상 안에 품고 있는 것이어야 하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