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5책놀이지도사+(2).jpg
 

 

# 책놀이지도사 양성사업 협력기관 인터뷰 

책놀이에서도 빛난 50+세대의 소통의 힘

이영주 ()한국책놀이지도사협회 서울지부 지부장

 

책놀이지도사_20211027_0062_1번.jpg 

 

사 업 명 책놀이지도사 양성사업

사업목적 책놀이지도사 교육을 통한 취업 역량 증진 및 50+세대의 취업 진입 지원

사업대상 40~67세 서울시 거주자

 

사업내용 을 이용해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는 책놀이지도사 직무교육을 지원하고, 지역아동센터, 돌봄센터,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 등 활동 연계처와 매칭

협력기관 ()한국책놀이지도사협회

 

 

 

책놀이지도사는 영유아 혹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림책을 다양하게 읽어주고, 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인 놀이활동을 알려주는 일을 한다대상이 그렇다 보니 수요가 가장 많은 건 방과 후 프로그램이다문제는 해당 스케줄에 매칭할 수 있는 인원을 찾기가 쉽지 않다는 것. 3040세대의 경우 일할 마음은 있지만 자녀 육아 등으로 스케줄 잡기가 어렵다한국책놀이지도사협회가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서부일자리팀과 손잡은 이유다. 50+세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시간 여유가 많고보람있는 일을 통해 작게나마 사회에 공헌하겠다는 의지가 크기 때문이다현재 교육 프로그램은 영유아초등 책놀이 등 돌봄과 방과 후 프로그램에 맞게 짜여져 있지만향후에는 50+세대의 장점을 더 살릴 수 있는어르신 인지활동형 책놀이로의 확장을 꾀하는 중이다.

 

 

 

 

책놀이 수업이 실제 이루어지는 북촌마을서재 마당에 깔끔한 발음의 씩씩한 목소리가 울려 퍼진다. 책놀이 수업과정을 열정적으로 설명하는 이영주 지부장이 목소리의 주인공이다. 다른 무엇보다 책놀이의 핵심을 소통이라고 말하는 그녀는, 50+세대의 연륜에서 우러나오는 소통의 힘이야말로 책놀이지도사에게 가장 필요한 미덕이라고 말한다.

 

참여자 선발과 교육 진행 프로세스는? 스토리텔링을 통한 소통 능력이 책놀이지도사의 자질

면접 때 무조건 책 읽기를 진행한다. , 책놀이지도사에게 책을 읽을 줄 안다는 건 동화구연, 화술을 말하는 게 아니라 스토리텔링을 해서 아이들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는지를 말한다. 화술보다는 소통 기술이 훨씬 중요하다는 의미다. 면접을 통과하면 책놀이의 이해’ ‘스토리텔링 유형과 책놀이’ ‘오감을 일깨우는 책놀이’ ‘스토리텔링 시연10회 차 수업을 마치고 현장과 연결한다. 현장에 나가고 4주 후에는 서로 경험을 나누고, 보강교육을 진행한다. 대상에 따라 책 읽기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책놀이지도사_20211027_0049_2번.jpg

 

사업에 지원한 50+세대의 반응은? 치매 어르신에 적용한 피드백 많아

정말 좋아한다. 50+세대가 고학력자에 선생님 출신이 많다. 사실 이 세대분들에게 새로운 걸 가르치는 건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기존 경험을 응용해 다른 수업을 만드는 법에 강점이 있더라. 흥미로운 건, 4주 후 수업 소감을 물으면 집에서 모시고 있는 치매 부모님에게 적용해보니 좋아하시더라는 피드백이 많다는 거였다. 치매 어르신들에게 책 읽기가 굉장히 좋은 프로젝트인데, 그 전까지의 책 놀이가 문학 위주였다면, 어른들에겐 작업치료 혹은 인지 프로그램형 책 놀이 개발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개발 진행 중인 프로젝트다.

 

 책놀이지도사_20211027_0074_3번.jpg

 

책놀이지도사로서 50+세대의 가장 큰 강점은? 일 자체를 즐기고 어르신까지 포용

50+선생님들은 아이들에게 책을 읽어줄 때도 굉장히 열정적이다. 교구를 만들더라도 아이들을 위해 직접 하나하나 손바느질을 하는 선생님도 있다. 받는 것보다 더 많이 주고 오신다. 돈보다 일하는 것 자체를 즐기고 좋아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고 본다. 3040대 선생님들보다 포용력이 넓어 어르신 수업을 갔을 땐 더 빛이 난다. 한 번은 어떤 어르신이 강남 갔던 제비가~” 하는 노래를 흥얼거리는데, 50+선생님만 그 노래를 안다고 따라 부르더라. 치매 어르신들은 장기 기억을 발판 삼아 단기 기억 회복에 도움을 드려야 하는데, 그건 50+선생님이 제일 잘 하실 거라 생각한다.

 

 책놀이지도사_20211027_0080_4번.jpg

 

아쉬운 부분이 있다면? 지치지 않고 효능 발휘하도록 소득 보장

50+세대는 생계형 일자리가 아닌 사회공헌형 일자리를 더 선호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효능을 발휘하면서, 용돈 벌고, 파트타임으로 일하고, 자기생활을 영위하길 원한다. 그런 분들에게 열정페이, 재능기부만 강조하지 않았으면 한다. 그런 상황에선 장사가 없다. 누구라도 지친다.

 

 

 

⁂ 한마디 인터뷰

 

이 시대, 50+세대에 일자리의 의미는?

존재감이 아닐까 싶다현장에선 물러났지만 내가 가진 경험과 노하우를 누군가에게 나누면서 자신의 효능감을 확인하고제 용돈 정도는 스스로 벌 수 있는 일자리야말로 자기 존재감에 대한 확신을 안겨준다고 생각한다. 

 

 

 

기획·진행 서울시50플러스재단 일자리사업본부

인터뷰· 문 일 완

사진 이 준 용

 

* 본 기사는 50+적합일자리 사업 현장의 이야기를 50+세대 참여자 또는 협력기관 담당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작성된 것으로, 글의 내용이 모든 참여자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며 서울시50플러스재단 입장과도 다를 수 있습니다.

 

50+적합일자리

시장의 50+인재 수요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민간·공공 자원을 투입하여, 시대에 맞는 일자리를 발굴하고, 취업·창업과 연계하는 사업입니다.


<연재순서>

① 새싹을 틔우는 마음으로 아이를 돌봅니다.

② '행복한 택시기사일할 맛 나는 직업이 될지니!

③ 안심하고 나이 드는 사회’ 만들어요!

④ 여행 좋아하세요? 이젠 좋은 여행 만들어보세요

⑤ 책놀이에서도 빛난 50+세대의 ‘소통의 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