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여기서 40년을 살았어요. 다른 어떤 곳보다도 여기가 좋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계단을 오르기가 너무 힘이 듭니다"
노인 대부분은 가능한 한 자신이 오랫동안 거주해 오던 곳에서 여생을 보내길 희망한다. 이처럼 노인들이 노년에 자신의 거처를 옮기지 않고 자신이 원래 머무르던 곳에서 지내는 것을 ‘지역사회에서의 연속적 거주(이하 Aging in place)’라고 한다. 미국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에서는 Aging in Place를 “요양원 시설과 같은 대체 거주시설보다는 노인들이 나이, 수입, 혹은 신체적 능력을 포함한 능력의 수준(Ability Level)에 상관없이 자신의 집과 자신이 속한 커뮤니티에서 안전하고 독립적이며, 안락하게 살아가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즉 시설 수용을 피하는 것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내에서 노인이 자기 관리 습관을 유지하고 친숙한 환경에서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65세 이상 노인의 90%는 그들이 현재 머무르는 거처에서 살아가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노인들이 자신이 살아오던 거처와 주변 장소에서 살아갈 때 보다 더 독립과 자율성을 누릴 수 있고, 친구나 가족을 포함한 보다 중요한 사람들과의 연결성을 지속할 수 있으며 그들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와 지원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Aging in Place 정책은 노인들을 병원이나 장기요양시설 등에서 케어할 때 소요되는 사회적 비용을 고려한다면 사회 전체적으로 유익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노년기 신체 변화에 따른 거주환경 개선의 필요성
노인들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신체적 기능이 떨어지고 일상적 활동에 어려움을 겪게 되며, 이로 인해 자신의 거주환경을 개선해야 하는 요구에 직면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가 있으며, 그에 따른 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운동 기능(Mortor Functiong)
근력의 약화와 그로 인한 골절상 등으로 보행이 어려워 보행기나 휠체어, 지팡이를 사용해야 할 수 있다. 이때 휠체어가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구의 입구를 넓히고 손잡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계단이동을 용이하게 해주는 엘리베이터 의자 등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미세 운동 기능(Fine Mortor Functiong)
파킨슨병과 같은 질병으로 인해 손가락 사용이 어려울 때에는 집안에 손잡이를 부착하고, 욕실 비품 등을 개선해야 한다.
인지 기능(Cognitive functioning)
치매 혹은 정신건강의 악화는 노인의 오감과 인지 능력을 떨어뜨리고 반응을 느리게 한다. 결과적으로 화재 위험이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화재경보기 등을 거주 시설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신체적 기능 저하에 맞추어 기존 거주환경을 수정하면 노인 개개인이 더 쉽게 일상생활을 수행해 삶에 대한 독립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환경 개선은 노인들이 더 많은 활동에 참여토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더해 부양가족과 간병인을 돕고, 사고를 줄이며, 병원이나 요양원 같은 시설로의 수용을 지연시켜 의료 비용을 줄이는 효과를 가져다 준다.
지역사회에서의 연속적 거주를 위한 촉진 방안
거주 공간의 개선(Home Modifications)
일반 가정의 환경은 노인에게 위험 요소가 많다. CDC(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낙상은 노인들 사이에서 사망에 이르는 주요 원인이다. 하지만 샤워실이나 욕실의 지원 부족, 부적절한 계단 난간, 느슨한 깔개, 막힌 통로 등 일상적인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환경은 노인에게 낙상을 일으키는 위험요인이 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집을 개조하면 낙상 위험을 크게 줄일 뿐만 아니라 다른 형태의 부상 위험도 줄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런 조치는 거주지에서의 연속적 거주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낙상과 부상 방지를 위한 주택 개조에는 조명 증가, 계단 양쪽 끝의 접근 가능한 스위치 설치, 추가 난간과 손잡이 설치, 미끄럼 방지 바닥 시설, 손에 들 수 있는 유연한 샤워 헤드와 대형 욕조 설치, 깔개와 어수선한 물건 제거, 손이 닿기 쉬운 찬장 마련, 볼륨이 강화된 전화와 초인종 설치 등이 포함된다.
커뮤니티 자원의 활용(Resources in Communities)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퇴직자 커뮤니티(Naturally occurring retirement communities, NORCS)는 지역사회에서의 연속적 거주를 원하는 노인을 위한 또 다른 방안이 되고 있다. NORCS는 특정 연령 인구를 위해 특별히 구축되지는 않았지만 60세 이상의 주민 회중이 협력해 사는 곳에서 발생한다. 이 모델은 지역이나 주 및 연방 자금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사업, 이웃 협회 및 민간 재단의 지원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동 수단 지원(Transportation Support)
노인의 독립적 생활을 위해서는 식료품 구입이나 병원 방문 등을 위한 이동수단의 보장이 필수적이다. 그뿐 아니라 연구들에 따르면 노인의 운전 중단은 삶의 만족도 감소, 사회적 역할 감소, 친구 네트워크 감소 등으로 인한 우울 수준의 증가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에게 원하는 곳까지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이동수단의 제공은 지역사회의 연속적 거주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방안이다.
미국 국립 ‘지역사회에서의 연속적 거주’를 위한 협의회(The National Aging in Place Council)
미국 노인들 중 대다수는 자신의 집에서 가능한 한 오랫동안 머물며 살아가기를 원하지만 실제로는 독립적 거주를 가능하게 하는 집 또는 커뮤니티 기반 서비스들에 대한 인식 부족 때문에 그러한 희망을 실현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2013년부터 협의회(The National Aging in Place Council, NAIPCⓇ)가 노인 지원 네트워크로서 활동해 오고 있다. 이 협의회는 다양한 전문가와 커뮤니티들이 미 전역의 각 지역 챕터를 통해 협업과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많은 미국의 노인들이 지역사회에서의 연속적 거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미국의 Aging in Place 정책의 예: 메릴랜드주
주정부 프로그램
노인을 위한 보조금 주택(Subsidising Housing for Seniors): 보조금 주택은 저소득층과 중간 소득층의 주택을 저렴하게 만들기 위해 연방정부가 후원하는 경제 지원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자격요건에 해당하는 노인은 시장가격 이하의 임차료 혹은 가구소득의 30% 수준에 이르는 임차료로 노인아파트와 같은 거주 시설에서 머무를 수 있다.
주거 시설 개선을 위한 저이자·무이자 대출(Accessible Homes for Seniors): 메릴랜드주 주거 및 지역발전부(Maryland Department of Housing and Community Development)에서는 노인들이 집의 거주 환경을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재정지원인 ‘Accessible Homes for Seniors’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55세 이상의 메릴랜드 주민이라면 다른 경로의 대출이 불가한 경우라도 집을 수리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적은 이자 혹은 무이자로 지원받을 수 있다. 이는 집 안에서의 이동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다양한 시설들(예를 들어 벽 손잡이, 난간, 경사로 및 확장된 출입구 등)을 설치함으로써 거동이 다소 불편한 경우에도 집에서 안전하고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기 때문에 Aging in Place를 위한 핵심 정책으로서 각광받고 있다.
하워드 카운티 프로그램
하워드 카운티 노인 지원 전담부(Howard County Office in Aging and Independence)는 노인들에게 거주 시설 옵션(예를 들어 노인 거주 단지, Assisted living facilities, 너싱홈 등)을 포함해 다양한 지원 서비스들을 안내하고 노인들의 독립적 거주를 지원하는 전담 부서다.
지역사회에서의 연속적 거주를 위한 재산세 감면(Aging in Place Ta x Credit): 동일한 부동산에 40년 동안 거주한 65세 이상의 부동산 소유자에게 5년 동안 재산세를 20% 감면해 주며, 특별한 소득 요건은 없다.
노인 재산세 감면(Senior Property Ta x Credit): 65세 이상의 재산 소유자에게 재산세를 25% 감면해주되, 소득 및 자산에 따라 자격 제한이 적용된다.
이동수단 제공 프로그램(Neighbor Ride): 저렴한 자원봉사 기반의 보충 교통수단을 제공해 카운티 노인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의료 및 재활 시설 대여센터(The Loan Closet): 휠체어 등과 같은 의료·재활 기기를 무료로 대여해 노인의 안전하고 독립적인 거주를 돕는다.
맺음말
노인인구의 증가에 따라 노인의 삶의 질을 어떻게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전개되고 있다. Aging in place는 노인들이 사생활, 정체성, 신체적·주관적 웰빙을 유지하는 데에 기여하는 중요한 정책적 의의를 가진다. 많은 연구를 통해 노인들 대다수가 자신의 원래 거주지에서 노년의 삶을 지속하기를 원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는 점에서 볼 때, Aging in Place 정책을 장려하는 것은 노인의 삶의 질을 보장하는 최우선의 과제라고 하겠다.
이를 위해서는 노인의 니즈를 파악하고, 노인들이 자신의 의사에 따라 거주 지역과 환경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정책적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 이러한 노력은 노인 개인이 가능한 한 독립적이고 안전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들의 삶의 질을 보장할 뿐만 아니라 그들을 둘러싼 부양가족의 부양부담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치료비나 요양비와 같은 사회적 비용을 감소시키는 데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고령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한국 사회의 현실에서 이는 중요한 이슈가 아닐 수 없다.
참고문헌
미국 국립보건원. Aging in Place: Growing Older at Home. https://www.nia.nih.gov/health/aging-place-growing-older-home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 Healty Places Terminology. https://www.cdc.gov/healthyplaces/terminology.htm
AARP. Beyond 50.05: A Report to the Nation on Livable Communities Creating Environments for Successful Aging. https://assets.aarp.org/rgcenter/il/beyond_50_communities.pdf
Pynoos, J. (2001). Meeting the needs of older persons to age in plac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action. Retrieved August 16, 2007, from the National Resource Center on Supportive Housing and Home Modification Web Site: http://www.usc.edu/dept/gero/nrcshhm/research/pages/Commission11%20on%20Elderly%20Housing%202001.htm
Lawler, K. (2001). Aging in Place: Coordinating Housing and Health Care Provision for America’s Growing Elderly Population. Cambridge, MA: Joint Center for Housing Studies of Harvard University. https://www.jchs.harvard.edu/research-areas/working-papers/aging-place-coordinating-housing-and-health-care-provision-america%E2%80%99s
Himes, C. L., & Fang, C. L. (2007). Social lives in later life. In J. M. Wilmoth & K. F. Ferraro (Eds.), Gerontology: Perspectives and issues (pp. 289-305).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7). 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 World Health Organization. www.who.intageing/age_friendly_cities_network
Mayo Clinic. Aging: What to expect. https://www.mayoclinic.org/healthy-lifestyle/healthy-aging/in-depth/aging/art-20046070
The Helping Home. Aging in Place at Home: The Definitive Guide Part1. https://thehelpinghome.com/aging-in-place-at-home-definitive-guide-part1/
Greenberg, B. R., & Schwarz, J. (2010). Aging in place… with a little help from our friends: An overview for Grantmakers about aging in the community. Healthcare Georgia Foundation. http://www.philanthropicgroup.com/giaaip050409v2.pdf
Curl, A. L., Proulx, C. M., Stowe, J. D., & Cooney, T. M. (2015). Productive and social engagement following driving cessation: A couple-based analysis. Research on aging, 37(2), 171-199. DOI: 10.1177/0164027514527624
Mezuk, B., & Rebok, G. W. (2008). Social integration and social support among older adults following driving cessatio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63(5), S298-S303. DOI: 10.1093/geronb/63.5.S298
National Aging in Place Council. https://www.ageinplace.org/
Katz, S. (2005). Cultural aging: Life course, lifestyle, and senior worlds. Peterborough, ON: Broadview Press.
Maryland Department of Hous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Accessible Homes for Seniors. https://dhcd.maryland.gov/Residents/Pages/ahsp/default.aspx
Maryland Department of Aging. Subsidized Housing. https://aging.maryland.gov/accesspoint/Pages/Subsidized-Housing.aspx
Maryland Montgomery County Government. https://www.montgomerycountymd.gov/senior/housing.html
Howard County Office in Aging and Independence. https://www.howardcountymd.gov/aging
U.S. National Institution on Aging. Aging in Place: Tips on Making Home Safe and Accessible. https://www.nia.nih.gov/health/infographics/aging-place-tips-making-home-safe-and-acce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