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나눔샘 시민아카데미’ 5차 강의 현장을 가다' 

 

사진1.jpg
김민경 선생님이 성동50플러스센터에서 나눔샘 시민 아카데미’ 5차 강의를 하고 있다. 50+시민기자단 이필열 기자

 

나눔샘 & 시민아카데미

나눔샘은 나눔의 샘을 의미한다. , 나눔의 철학, 의미, 방향을 담고 있다. 나눔의 샘은 기존의 나눔과 상이한 나눔의 철학과 콘텐츠를 담고 있다. 기존의 나눔 교육(1.0)이 전통적 의미의 친절한 이웃(friendly visitor)과 자선에 기반해서 불쌍한 이웃을 돕는 교육을 의미하였다면 나눔샘(2.0)의 목적은 자선을 넘어 시민들의 권리 혹은 민주주의와 인류애에 기반한 박애를 체험한 시민의 형성이 목적이다. 나눔샘의 실천은 철학과 정책을 지역과 학교 속으로 관철하는 일련의 실천과정을 의미한다.

 

성동50플러스센터는 50플러스 세대를 대상으로 나눔 교육 활성화를 위해서 첫째,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 둘째, 선배 시민으로서의 성장, 셋째, 나눔 실천가의 양성을 위하여 ‘2022 나눔샘 시민아카데미’(2022.9.17.~10.29)를 진행 중이다.

 

장애인의 이동권은 보편적 가치

이 세상에 가장 평화로운 단어가 있다면 그건 누구나가 아닐까?

누구나 참여할 수 있고, 누구나 사랑할 수 있고, 누구나 살 수 있는 세상,

어쩌면 이 모든 일이 누구나 자신의 권리를 지키며 살 수 있는 평화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일일지도 모른다.”

이미화 작가 수어중에서


기자는 지난 1015일 성동50플러스센터 너른배움터에서 나눔샘 시민아카데미’ 5차 강의를 들었다. 나눔샘 5차 강의는 주로 장애인에 관한 얘기였다. 그때 얼마 전에 읽었던 수화 에세이집 수어의 한 구절이 문득 떠올랐다. 인간이 인간답게 살아갈 권리는 장애인이든 비장애인이든 함께 누려야 마땅하다. 나눔샘 김민경 선생님은 장애인에 대한 사회의 인식을 바꿔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장애인의 이동권은 보편적 가치이다. 특수가치가 아니다. 상황이 되고, 여유가 되고, 돈이 남으면 하는 게 아니라는 얘기다. 장애인의 이동권확충을 위해서 우리 사회는 공감해야 한다. 그리고 장애인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편의를 제공하는 조치들이 이루어져야 한다. 나눔샘 김민경 선생님이 강조하는 말이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장애인 현황을 보면 전체인구의 5.1%이며, 서울 인구의 3.8%이다. 질병이나 교통사고로 인한 후천적 장애 비율은 9:1이다. 이 통계가 시사하는 바는 지금의 비장애인도 후천적 요인으로 인하여 미래의 장애인에 속할 확률이 높아져 간다는 사실이다.

 

심금을 울리는 장진호 지음의 위를 봐요!’ 그림책 토론

국제 아동 도서전에 그림책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상이 있다. 바로 이탈리아 볼로냐에서 매년 열리는 볼로냐 도서전에서 시상하는 볼로냐 라가치상이다. 2015년 이 상을 수상한 장진호 작가의 그림책 위를 봐요!’에 대한 김민경 선생님의 그림책 해설이 있었다. 이 책은 교통사고로 두 다리를 잃은 후천적 장애인 수지에 관한 이야기다. 내용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사진2.jpg
수지는 가족여행 중 사고로 다리를 잃었다. 장진호

 

수지는 가족여행 중이었다. 수지는 차에 타고 있었을 뿐이었다. 큰 사고가 났다. 자동차는 바퀴를 잃었고, 수지는 다리를 잃었다.

 

사진3.jpg
휠체어를 탄 수지가 도로 쪽 난간으로 나오고 있다. 장진호

 

아파트의 높은 층의 문이 열리며 휠체어를 탄 수지가 도로가 보이는 난간 쪽으로 나온다.

 

사진4.jpg
수지는 높은 곳에서 도로를 지나는 사람들의 머리만 지켜보고 있다. 장진호

 

수지는 높은 곳에서 도로를 내려다보며 사람들을 지켜본다. ‘개미 같아’, ‘검정 머리만 보이는 사람들은 빠르게 길을 지나갔어’, ‘길에는 아이들과 강아지가 놀기도 했어’, ‘비가 오면 우산들의 행렬이 생겼어수지는 그냥 묵묵히 지켜보았다.

 

사진5.jpg
한 아이가 수지를 올려다보고서 서로 마음속 대화를 나누고 있다. 장진호

 

내가 여기에 있어요. 아무라도 좋으니-----’, ‘위를 봐요!’, ‘너 뭐 하니?’, ‘내려다보고 있어’, ‘?’, ‘궁금해서’, ‘아래로 내려와서 보면 되잖아’, ‘다리가 아파서 못 내려가’, ‘거기서 보면 제대로 안 보일 텐데’, ‘, 머리 꼭대기만 보여’, ‘그럼 이건 어때?’

 

사진_6.jpg
도로에 있는 아이가 높은 곳에 있는 수지에게 전부를 보여주기 위해서 도로 위에 누웠다. 장진호

 

너 왜 길거리에 누워 있니?’, ‘어떤 일이냐 하면요, 위에 저 아이가-----’

 

사진7.jpg
수지, 도로 위의 남녀노소 그리고 애완견, 자전거까지 모두 하늘을 보고 있다. 드디어 고개를 든 수지의 얼굴이 보인다. 장진호

 

모두 위를 봐요!’ 도로 위에 있는 모든 대상들과 높은 곳의 수지도 함께 하늘을 본다.

 

사진8.jpg
도로 위에 연이 날리고 있는 것으로 봐서 다시 1년이 흘렀다. 수지는 용기를 내서 휠체어를 타고 도로로 나갔다. 핑크빛이 물든다. 장진호

 

도로 위에 연이 날리는 걸 봐서는 또 1년이 흘렀다. 높은 곳에 있던 수지는 보이지 않는다. 수지도 틀림없이 용기를 내어 휠체어를 타고서 길 위를 다니고 있을 것이다. 길은 핑크빛이다.

 

우리는 이 그림책에서 인상적인 장면과 왜 그런 느낌이 들었는지 그리고 두 다리를 잃고서 높은 곳에 있는 자기를 아무도 바라봐 주지 않았을 때의 수지의 마음이 어떠했을지에 대해서 토론을 했다. 그리고 5WHY 질문법으로 이 그림책의 내용에 대해서 서로의 느낌을 얘기했다.

 

사진9.jpg
차별 없는 일상을 위한 유니버설 디자인을 잘 보여주는 사례다. 김민경

 

유니버설 디자인 - 차별 없는 일상

차별 없는 일상을 위해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해서 배웠다.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모든 사람을 위한 디자인(Design for all) 혹은 보편적 디자인으로 불리며 연령, 성별, 국적, 장애의 유무 등에 관계없이 누구나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건축, 환경, 서비스 등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것이다.

 

유니버설 디자인에는 7가지 원칙이 있다. 1) 공평한 사용, 2) 사용의 융통성, 3)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4) 인지할 수 있는 정보, 5) 실수에 대한 관대함, 6) 적은 신체적 노력, 7) 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이다.

 

사진10.jpg
10년 만에 만나는 장애인 친구가 왕십리에 있는 집까지 오는 데 겪는 불편함을 개선할 방법을 찾는 분임토론에서 토론 내용을 발표하고 있다. 50+시민기자단 이필열 기자

 

차별 없는 세상이 빨리 오기를!

“( )에 살고 있는 친구가 우리 집에 놀러 온답니다. 반평생 친구인데 친구가 사고로 걷지 못하면서 못 만난 지 10년은 넘은 것 같아요. 걷지 못하는 그 친구가 왕십리까지 불편함 없이 올 수 있도록 한 가지만이라도 잘 되어 있었으면 좋겠어요.”

 

우리는 3개 조로 나뉘어서 이와 같은 주제에 대하여 분임토의를 하고, 조별로 합의한 내용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잘 되어 있길 바라는 그 한 가지를 유니버설 디자인으로 만들어 보는 연습도 했다.

 

유익한 두 시간이 흘렀다. 수강생 모두 장애인과 더불어 살아가는 누구나 살아가는 세상’, ‘누구나 사랑할 수 있는 세상그런 차별 없는 세상을 두 시간 동안 토론하고 소통했다. 그런 세상이 빨리 펼쳐지기를 바라며, 좋은 강의를 들려주신 나눔샘의 김민경 선생님에게 박수를 보냈다.

 

 

50+시민기자단 이필열 기자 (pilyul1147@naver.com)

 

 

이필열.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