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중년의 일자리 기대감에 대한 종단적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저자 : 유정화, 길혜지
발행처 : 숭실대학교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발행일 : 2022년 7월
분량 : 28p
유형 : 연구논문(평생교육 · HRD연구 2022, vol.18, no.3, pp. 139-166)
주요 내용
• 본 연구는 주된 일자리를 퇴직하고 연금수령 이전에 있는 만 50세에서 만 62세에 해당하는 연령층을 신중년으로 명명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일자리 기대감의 종단적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음.
• 이를 위해 2수준 다층성장모형을 적용하였으며,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4∼8차 조사(2012∼2020년)에 참여한 신중년의 일자리 기대감을 분석하였음.
• 분석 결과를 보면 첫째, 신중년의 일자리 기대감은 시간이 흐를수록 선형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초기치와 변화율의 개인차가 유의하였으며 둘째, 여자보다 남자가, 삶의 만족도는 높을수록 초기 일자리 기대감이 높게 나타났음. 일자리 기대감의 변화율은 학력이 높을수록 더 부정적으로 나타났고,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부적인 변화율이 점차 감소하였으며 셋째, 시간과 변수 간 상호작용항을 투입한 결과 고학력일수록, 삶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일자리 기대감의 변화율에 미치는 영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 마지막으로 기대 수명이 길수록, 정부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클수록, 현재 일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일을 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일자리 기대감이 높게 나타났음.
• 본 연구에서는 고령인구 중에서 신중년을 구분하여 일자리 기대감의 종단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심리적 요인인 일자리 기대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고 신중년의 미래수명 및 정부정책 기대감을 일자리 기대감과 함께 분석하여 신중년 대상 고용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음.
주요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분석
1. 신중년의 개념과 일자리 실태
2. 일자리 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분석 자료
2. 측정 도구
3. 분석 방법
IV.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2. 일자리 기대감의 종단적 변화 분석
3. 일자리 기대감의 종단적 변화에 대한 영향요인 검증
V. 논의 및 결론
1. 연구 결과 요약 및 정책적 함의
2. 제한점 및 향후 연구방향